대선 패배이후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나온 이야기가 모바일 경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당내 비주류라고 불리는 집단에서 친노진영에 대한 책임과 더불어 친노진영에 힘을 실어준 모바일 투표에 대해 폐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이게 도대체 대선 패배와 무슨 연관이 있는지 잘 모르겠고 대선패배의 요인으로 모바일투표를 지적하는 민주당의 모습도 뭔가 마뜩잖은 느낌이지만, 어쨌든 민주당쪽에서는 모바일 투표가 당심과 상당히 괴리가 있고, 또 모바일 투표가 특정집단의 기득권유지에 이용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서 폐지를 하는게 맞다고 주장하는군요.


모바일 투표의 한계를 지적하는 점에서는 동의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분명히 모바일투표라는 점이 모바일에 익숙한 특정한 집단만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는 한계점은 분명이 있었죠. 특히나 모바일에 익숙한 젊은 층의 표심이 이 모바일투표를 좌지우지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구요. 국민경선이라는 것을 도입했던 민주당에서는 이 점을 극복하고 많은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투표를 준비했어야하는데 그 한계를 사실상 극복하지 못했죠. 이후에 모바일투표에 대한 뒷말도 꽤 있었구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바일 투표를 통해 국민들의 표심을 반영한 당을 세우는 과정이 완전히 불공정하고 비합리적인 것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모바일 투표가 도입되는 과정은 민주당이 시민정당, 국민을 대변하는 정당으로 거듭나야하고 자기들안에 갇힌 정당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요구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고, 처음으로 국민들이 자신의 손으로 한 당의 대표를 선출하는 상당히 획기적인 방법이었으니까요. 물론 그게 모든 시민의 의견을 완벽히 반영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반영하려고 했던 그 시도 자체는 상당히 혁신적이었죠.


따라서 이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 민주당이 취해야할 태도는 사실 모바일 투표의 시스템 개선과 어떻게 당에 대한 국민들의 표심을 많이 그리고 모든 연령층의 표심을 골고루 반영해낼 것인가를 고민하고 개선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민주당의 모습은 모바일 경선에 참여했던 무수한 사람들과 모바일 경선을 주장했던 사람들을 특정 기득권 집단으로 규정하고 소수의 사람들이 모바일 투표를 주장하고 조직을 동원해 경선에서 이기고 당권으로 기득권을 쥐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했다는 극단적인 결론에 이르러 모바일 투표를 폐지하는 쪽으로 강하게 주장하고 있죠. 그러면서 당심과 민심은 모바일 투표와는 다르며,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고 승승장구했던 친노진영과 그 친노진영을 지지한 사람들은 조직된 소수이고 민심이 아니라는 결론에 까지 이르렀네요. 모바일 투표에 참여했던 사람으로서 상당히 기분이 구리지 않을 수 없는 대목입니다. 저도 참여했었는데 저는 동원되고 조직된 사람인가요.


그래서 결국에는 완전한 당경선을 민주당이 주장하고 있는데 그러면 당 경선은 조직동원이 없을까요? 모바일 투표를 폐지하고 당내의 당권을 가진 사람들로 당의 선거를 치루고 하면 민주당이 제대로된 정체성을 가지고 제대로된 정당정치를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렇게 했을때 국민들이 인정해줄까요? 제 생각에는 어느하나 긍정적인 대답을 내놓을 수 없을 것 같네요.


무엇보다도 대선이후에 벌어지는 모바일 투표의 논란과 여전히 계속되는 계파 싸움을 보면서 민주당이 얼마나 대선이 되어서 까지도 당내에서 연합도 안된 오합지졸의 상태로 서로 투닥거리면서 대선을 치루었을지를 생각해보니, 이 정당은 아직 한참 멀었다 싶습니다. 설사 모바일투표가 잘못되었다 할지라도 고쳐나가면서 연합하고 함께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어야하는데 말이죠. 실상 지금의 모바일 투표 폐지와 함께 나오는 대선패배에 대한 보고서를 보고 있으면 결국 친노가 다 말아먹었다는 식이니까요. 사실 결론은 민주당 니네가 그냥 다 못한거고 모두가 말아먹은건데 말이죠. 이런 모습을 보니 5년후도 별로 기대가 안됩니다.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원병 보궐선거 누구를 위한 정치인가.  (0) 2013.03.04
  (0) 2013.02.27
노회찬 대법원 판결을 보며  (0) 2013.02.16
가족이란 의미  (0) 2013.02.09
논란이 되는 기초연금의 문제점  (0) 2013.02.04
Posted by honjo
,